저희는 뉴스 데이터를 활용해, 뉴스 생산자의 입장에서 특정 주제에 대해 시기별 보도량이나 보도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고자 했습니다.
시기별로 보도 양상을 파악할 주제로는 **‘감염병’**을 선정했습니다. 2012년 사스, 2015년 메르스를 거쳐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었고, 최근에는 원숭이두창이 전세계적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요. 주기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해왔고 매 감염병이 빠르게 전파될 때마다 많은 정보량의 뉴스가 쏟아져 왔던 만큼, 감염병별로 보도 양상을 비교하는 분석을 수행하기에 데이터의 양은 충분할 것으로 봤습니다.
감염병의 확산세가 늘어나는 시기별로 언론보도 양상의 패턴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요. 그중에서도 감염병 확산 초기에 보도량 추이와 주요 보도 내용이 어떤 양상을 보이고, 이러한 양상이 감염병별로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보고자 했습니다.
<aside> 💡 가설
보도량 추이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, 주요 키워드와 토픽이 유사한 내용이라면
→ 감염병 확산을 보도하는 일정한 패턴, 감염병 보도 뉴스에 활용되는 주요 표현들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
보도량 추이와 주요 키워드, 토픽이 감염병별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면
→ 감염병의 특성(전파력, 치명률 등)과 관련 사회,경제,정치 이슈 요인에 따라 감염병 보도 뉴스가 이슈화되는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.
</aside>
뉴스 검색사이트 빅카인즈(BIG KINDS)가 제공하는 데이터와 검색기능을 활용하여 뉴스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.
국내 첫 확진 사례가 발견된 시점을 기준으로 +5일의 기간을 설정하고, 각 병명을 키워드로 하여 뉴스를 상세 검색했습니다.
총 589건의 뉴스 데이터를 추출했습니다. 코로나19 뉴스데이터과 비교해보면, 코로나19 확산 초기의 보도량이 메르스 확산 초기 당시 보도량보다 약 4배 가까이 많이 나타났습니다.
코로나 확산 초기에 ‘우한 폐렴’이란 용어로도 자주 보도가 되었음을 고려하여, “코로나19 OR 코로나 바이러스 OR 우한 폐렴”로 검색했습니다.